5-9. 법화경 요품(관세음보살보문품) 8) 관세음보살보문품 우리가 보통 관음경(觀音經)이라 하는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은 법화경 본문 제25품에 나오는 내용으로 이 품에 등장하는 관세음보살은 중생들이 일심으로 이 보살의 명호를 부르면 그 소리를 듣고 찾아가서 구제하는 보살이다. 무진의보살(無盡意菩薩)이 부처님에..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2.13
5-8. 법화경 요품(묘음보살품) 7) 묘음보살품 묘음보살(妙音菩薩)은 정광장엄국(淨光莊嚴國)의 보살로서 오래 전에 온갖 덕본(德本)을 심고 모든 부처님을 공양하여 깊은 지혜를 성취하였으며, 묘당삼매(妙幢三昧)와 법화삼매(法華三昧) 등 열 여섯 가지 삼매를 얻은 후에 그 나라 부처님의 허락을 받고 8만 4천의 보살과 함께 석가모..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2.10
5-7. 법화경 요품(약왕보살본사품) 6) 약왕보살본사품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과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 그리고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의 세 가지를 법화경의 '삼대보살품(三大菩薩品)'이라고 하는데 천태대사(天台大師) 지의(智의)는 부처님의 몸(身)과 입(口), 마음(意)에 비유하여 약왕보살본사품은 부처님의..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2.07
5-6. 법화경 요품(상불경보살품) 5) 상불경보살품 상불경보살(常不輕菩薩)은 석가모니부처님의 전신으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에 나오는 분으로 정법화경(正法華經)에서는 상피경만보살(常被輕慢菩薩)이라고 하는 그의 내력은 [아주 먼 옛날 최초의 위음왕여래(威音王如來)께서 멸도 하신 이후 정법(..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2.04
5-5. 법화경 요품(여래수량품) 4) 여래수량품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은 법신(法身) 부처님의 가르침이며 법화경 본문(本門, 제17품)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적문(迹門)의 방편품(方便品)에서 설한 삼지삼청(三止三請)의 설법과는 또 다른 다음과 같은 삼계삼청(三誡三請)의 설법형식을 취하고 있다. 한역(漢譯) 경전에 [爾時 佛告諸菩..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30
5-4. 법화경 요품(신해품) 3) 신해품 믿음(信)은 불교의 시작이다. 먼저 부처님(佛)을 믿어야 하고 부처님의 법(法)을 믿어야 하며, 부처님의 제자(僧)들을 믿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을 믿을 수 있을 때 부처님의 가르침인 교법(敎法)을 알아야(解) 한다. 그러나 믿고(信) 아는(解) 것만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믿고 안 다음에는 반드..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28
5-3. 법화경 요품(비유품) 2) 비유품 부처님께서 설법을 하실 때 대상이 되는 중생들의 근기에 따라 여러 가지의 설법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비유품(譬喩品)에서는 모두 세 가지의 설법형식을 취하고 있다. 즉 앞부분인 전반부에는 상근기 중생들에게 법을 설하는 법설주(法說周)의 형식을 취하고 중근기 중생들에게는 비설주(..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25
5-2. 법화경 요품(방편품) 다. 법화경 요품 해설 법화경 즉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적문(迹門) 14품과, 본문(本門) 14품 등 모두 28품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적문(迹門)은 '발자취' 적(迹)자를 써서 화신불인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직접 설법하신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本門)은 법신불 비로자나부처님에 의해서 설(說)해지..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22
5-1. 법화경의 중심사상(개권현실, 구원실성, 회삼귀일) 나. 법화경의 중심사상 법화경의 깊은 뜻은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라는 제목이 나타내는 것과 같이 연꽃은 '처염상정(處染常淨)'이라고 해서 그 뿌리는 비록 진흙 속에 파묻혀 있더라도 잎이나 꽃에는 더러운 물 한 방울 묻지 않고 항상 청정(淸淨)함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진정한 보살(菩薩)은 연..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20
5. 법화경(경의 종류) 5. 법화경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양대(兩大) 경전의 하나인 화엄경을 부처님을 설하는 경전이라고 할 때 법을 설하는 경전이라고 하는 법화경(法華經)의 범어 원명은 Saddharma-pundarika-sutra로서 이를 풀이하면 'sad'는 형용사로 진(眞)·선(善)·신의(信義)·묘함(妙)·바른(正) 등의 뜻을 가지고 있고 동사로..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