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여래장에 관한 논서(보성론, 불성론) 4. 여래장에 관한 논서 가. 보성론 원래 이름은 구경일승보성론(究竟一乘寶性論)이나 약칭으로 일승보성론(一乘寶性論) 또는 보성론(寶性論)이라고 하는 이 불전은 후위(後魏)시대인 서기 508년경 늑나마제(勒那摩提)가 번역한 것으로 내용은 천친(天親)의 불성론과 함께 인도의 대승불교에서 여래장사.. 여래장사상 2005.09.27
3. 여래장을 설한경전(승만경) 3. 승만경 승만경(勝만經)의 원래 이름은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방광경(勝만獅子吼一乘大方便方廣經)으로 유일하게 재가의 여인이 설하는 경전으로서 유송(劉宋)의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가 번역하였는데, 신라 진흥왕 37년(서기 576) 수나라에서 귀국한 안홍(安弘)법사에 의해서 신라로 전해진 이후 .. 여래장사상 2005.09.25
2. 여래장을 설한경전(여래장경, 대반열반경) 2. 여래장을 설한경전 여래장과 비슷한 자성청정심이나 객진번뇌(客塵煩惱)라는 말은 초기경전인 아함경(阿含經)이나 부파불교(部派佛敎)의 논서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었고 여래장과 같은 계통의 여래성(如來性, tathagata-dhatu)사상은 유마경에도 나타나고 있으며, 법화경이나 화엄경의 일승(一乘)사상.. 여래장사상 2005.09.23
1. 여래장이란 여래장 사상 1. 여래장이란 여래장(如來藏)이란 범어 타타가타-가르바(Tathagata-garbha)를 번역한 말로 타타가타(tathagata)는 여래(如來), 가르바(garbha)는 장(藏) 또는 태아(胎兒)라는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는 합성어이다. 그래서 여래장경(如來藏經)에서는 '중생을 여래의 태아'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 말.. 여래장사상 2005.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