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무량수경 3. 무량수경 무량수경은 오존칠결(五存七缺)이라고 해서 모두 열두 번의 번역이 있었으나 다섯 번의 번역본만 남아 있고 나머지 일곱 번의 번역에 대해서는 자료가 없어 존재 여부조차 알 수 없는 실정이며, 남아있는 다섯 번의 번역본 중에서 가장 많이 독송되는 것은 서기 252년 위(魏)나라 출신의 강.. 정토사상 2005.10.07
1. 정토신앙 1. 정토신앙 정토신앙(淨土信仰)은 아미타불을 믿고 따름으로서 극락정토에 태어나기를 염원하는 신앙이다. 정토(淨土)란 일체의 부정(不淨)한 것이 모두 사라진 청정한 부처님의 세계로서 일체의 고통이 없고 즐거움만이 충만한 세계를 가리키는 말이다. 경전에는 미륵보살의 도솔천정토와 약사여래.. 정토사상 2005.09.30
3. 대승불교의 부처님 3. 대승불교의 부처님 석가모니부처님을 중심으로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적으로 확대된 삼세의 부처님은 다시 공간적으로 확대되어 동, 서, 남, 북 사방과 상, 하 방위 외에 다시 간방(間方)이 보태어지면서 시방세계(十方世界)의 시방불(十方佛)이 세워지고 대승불교 운동이 왕성해지면서 이러한 사.. 다불사상 2005.08.29
1. 불상(불상의 유래, 조성, 결인) 불상과 사찰 불상(佛像)이란 엄밀하게 말하면 오직 부처님의 상(像) 만을 의미하는 말이다. 그러나 우리가 통상 사용하는 불상이란 말은 부처님 상(像)을 비롯하여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는 보살상(菩薩像)과 독각상(獨覺像), 나한상(羅漢像)은 물론 불교와 부처님을 지켜주고 중생을 이익 되게 하는 호.. 불상과 사찰 200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