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광복 후의 불교 6.광복 후의 불교 가.왜색불교 정비 1945년 광복이 되면서 불교 역시 일본 불교의 지배와 영향권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오랜 세월 동안 그들의 지배를 받아 오면서 왜색불교의 잔재인 대처승(帶妻僧)들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쉽게 종결짓지 못한 상태에서 불행하게도 6.. 우리나라의 불교 2005.06.27
5. 일제치하의 불교 5. 일제치하의 불교 일본의 식민지정책은 다른 모든 분야와 마찬가지로 우리 고유의 종교의식을 말살시키고 일본식 불교를 심기 위해서 계획적으로 노력하였다. 그들은 먼저 조선개국 이후 5백년 동안이나 핍박받은 승려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서 한일합방도 되기 전인 고종 33년(서기 1895)에 벌써 일본.. 우리나라의 불교 2005.06.27
4. 조선의 불교(무학, 서산, 사명대사, 초의, 경허스님) 4. 조선의 불교 가. 불교정책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서기 1392년 고려의 마지막 임금인 제34대 공양왕을 폐위시키고 스스로 왕위에 올라서 국호를 조선(朝鮮)이라 하였으나 도읍은 개성에 그대로 두고 전반적인 사회체제 역시 그대로인 역성혁명(易姓革命)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조선 개국에 앞.. 우리나라의 불교 2005.06.24
3. 고려의 불교 3. 고려의 불교 가. 불교 정책 고려 태조 왕건은 서기 918년 왕위에 오르면서 도읍을 개성으로 옮기고 국호를 고려(高麗)라 하였다. 왕건은 자기가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부처님의 가호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믿고 불교에 깊이 귀의하여 불사를 크게 일으키면서 즉위 원년.. 우리나라의 불교 2005.06.23
2. 통일신라의 불교(구산선문, 원효, 의상스님, 석굴암, 불국사) 2. 통일신라의 불교 신라에 불교가 처음 전래될 당시는 왕실과 지배층이 중심이 되어 이를 받아드렸으나 점차 일반 민중들에게까지 전파되어 삼국을 통일 할 당시에는 거의 모든 국민들이 불교를 신봉함으로서 국민의 국가에 대한 호국사상이 앙양되고 승려들의 잦은 유학과 해외활동으로 인한 국위.. 우리나라의 불교 2005.06.20
1. 원삼국의 불교 역대왕조의 불교 1. 원삼국의 불교 고대 삼국의 불교는 소승불교(小乘佛敎)와 대승불교(大乘佛敎)가 함께 혼합되어 도입되었으며, 대승불교 내에서도 여러 개의 종파로 갈라져서 사상적인 통일을 이루지 못하고 재래의 사고방식이나 그릇된 습속과 토착신앙까지도 무조건 배척하거나 외면하지 않고 .. 우리나라의 불교 2005.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