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오위수행(통달위, 수습위, 구경위) 3) 통달위 통달위(通達位)는 견도위(見道位)라고도 하는데, 이 단계는 망념의 구름이 걷히고 수행자가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존재의 성품과 형상을 통달하여 체득하는 경지로서 자량위와 가행위의 단계를 거치면서 수행의 결과 진리에 계합(契合)하는 안목이 생기고 진여(眞如)를 몸으로.. 유식사상 2006.03.05
3-1. 오위수행(자량위, 가행위) 나. 오위수행 성유식론에 의하면 유식학에서는 보살의 수행계위를 십주(十住)·십행(十行)·십회향(十廻向)·십지(十地)와 불지(佛地) 등의 41계위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화엄경의 수행계위 중에서 십신을 십주에 포섭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41계위는 다시 다섯 단계(五位)의 .. 유식사상 2006.03.01
3. 유식의 수행(지관법) 3. 유식의 수행 세계는 오직 한 마음의 조작에 불과하다고 할 때 마음이 허공과 같이 두루 하고 모든 중생들에게 밝게 빛나는 것으로 간주하면 여래장사상이 되고 윤회의 기초인 아뢰야식으로 해석하면 유식사상이 되는데, 이러한 윤회의 성질을 가진 아뢰야식이 번뇌로 오염되어 있을 .. 유식사상 2006.02.27
2-2. 오성 각별설 다. 오성각별설 법상종(法相宗)에서는 유식학의 교의를 설정하면서 대승불교의 사상을 대부분 그대로 포섭하고 있으나 '일체중생(一切衆生) 실유불성(悉有佛性)'이라는 불성사상과는 다소 이념을 달리하는 '유위종자차별설(有爲種子差別說)에 의한 오성각별설(五姓各別說)'을 주장하고 .. 유식사상 2006.02.24
2-1. 말나식과 아뢰야식 나. 말나식과 아뢰야식 우리 인간의 인식활동은 통상 다섯 가지 감각기관이 인식하는 전오식(前五識)과 정신부분의 의식을 합해서 육식(六識)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들 육식의 활동만으로는 인식된 것을 계속해서 보존할 수 있는 보존성이 없기 때문에 어느 때 어느 곳을 막론하고 항상.. 유식사상 2006.02.21
2. 유식의 중심사상(마음의 세 가지 성질) 2. 유식의 중심사상 유식사상의 기초가 되는 유식설(唯識說, Vijnanavada)은 모든 존재의 가치기준은 외부에 나타난 사물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고 누구나 가지고 있는 자기 마음의 인식 여하에 달려 있다는 것으로 마음의 비중을 크게 강조한 사상이다. 그러나 정작 그 마음은 상주불멸(常住.. 유식사상 2006.02.17
1. 유식사상의 성립과 전파 유식사상 유식(唯識)이란 마음을 뜻하는 말이다. 그리고 유식사상은 마음 밖에 존재하고 있는 정신적 또는 물질적인 모든 존재는 모두가 '마음의 작용'에 의해서 창조되는 것으로 마음을 떠나서는 아무 것도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마음의 구조와 작용을 인식하고 수.. 유식사상 2006.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