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송 구경위 제30송 구경위 1) 송문 차즉무루계(次卽無漏界) 부사의선상(不思議善常) 안락해탈신(安樂解脫身) 대모니명법(大牟尼名法) 2) 풀이 이는 곧 번뇌가 없는 무루(無漏)의 경계이며, 불가사의(不可思議)하고 선(善)하며, 항상(恒常)하고 안락(安樂)한 경계이다. 해탈신(解脫身)이며, 대모니(大牟尼)이며, 법신(.. 유식삼십송 2007.01.07
제29송 수습위 제29송 수습위 1) 송문 무득부사의(無得不思議) 시출세간지(是出世間智) 사이조중고(捨二粗重故) 변증득전의(便證得轉依) 2) 풀이 무분별지는 무소득일 뿐만 아니라 부사의하며, 그것은 출세간의 지혜이다. 번뇌장과 소지장이라는 두 가지의 조중(粗重)한 종자를 버릴(捨滅) 수 있기 때문에 보리(菩提), .. 유식삼십송 2007.01.02
제28송 통달위 제28송 통달위(견도위) 1) 송문 약시어소연(若時於所緣) 지도무소득(智都無所得) 이시주유식(爾時住唯識) 이이취상고(離二取相故) 2) 풀이 수행자가 소연경(所緣境)을 대할 때 무분별지(無分別智)로 인식하여 '도무지 얻을 바가 없다(無所得)는 것을 알게되면' 그때 비로소 진여를 증득하여 유식의 진승.. 유식삼십송 2006.12.27
제27송 가행위 제27송 가행위 1) 송문 현전입소물(現前立少物) 위시유식성(謂是唯識性) 이유소득고(以有所得故) 비실주유식(非實住唯識) 2) 풀이 현전의 경계에 어떤 것을(少物)을 세워 공(空)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이것을 유식의 자성(自性)이라고 여기지만 존재한다는 것은 이미 소득(所得)의 마음이 있기 때문에 진.. 유식삼십송 2006.12.16
제26송 자량위 제26송 자량위 1) 송문 내지미기식(乃至未起識) 구주유식성(求住唯識性) 어이취수면(於二取隨眠) 유미능복멸(猶未能伏滅) 2) 풀이 유식성(唯識性)을 구하여 그기에 안주하려 해도 아직 순결택식(順決擇識)을 일으키지 않았을 경우에는 능취(能取)와 소취(所取)의 이취(二取) 수면종자를 복멸(伏滅)할 수 .. 유식삼십송 2006.12.02
제25송 유식의 실성 제25송 유식의 실성 1) 송문 차제법승의(此諸法勝義) 역즉시진여(亦卽是眞如) 상여기성고(常如其性故) 즉유식실성(卽唯識實性) 2) 풀이 이러한 제법 중의 승의(勝義)는 이른바 진여(眞如)로서 항상 모든 법의 실성(法性)과 같기 때문인데, 이것이 곧 유식의 실성(實性)이다. 3) 해설 전 송(頌)에서 설한 '상.. 유식삼십송 2006.11.27
제24송 3무성을 설함 제24송 3무성을 설함 1) 송문 초즉상무성(初卽相無性) 차무자연성(次無自然性) 후유원리전(後由遠離前) 소집아법성(所執我法性) 2) 풀이 처음은 일체의 모든 상(相)이 무성인 상무성(相無性)이요, 다음은 자연성(自然性)이 무성인 무자연성(無自然性, 또는 生無性)이며, 후는 이전에 집착한 아(我)와 법(.. 유식삼십송 2006.11.21
제23송 밀의로 3무성을 세우다 제23송 밀의로 3무성을 세우다. 1) 송문 즉의차삼성(卽依此三性) 입피삼무성(立彼三無性) 고불밀의설(故佛密意說) 일체법무성(一切法無性) 2) 풀이 변계소집성, 의타기성과 원성실의 3성(性)에 의지하여 상(相)무성, 생(生)무성(또는 無自然性), 승의(勝義)무성이라는 3무성(無性)이 건립된다. 그래서 부처.. 유식삼십송 2006.11.14
제22송 원성실과 의타기의 성질 제22송 원성실과 의타기의 성질 1) 송문 고차여의타(故此與依他) 비이비불이(非異非不異) 여무상등성(如無常等性) 비불견차피(非不見此彼) 2) 풀이 그러하므로 원성실성은 의타기성의 종종환상과 다르지도 않고 다르지 않는 것도 아닌 것이 마치 무상(無常), 무아(無我), 고(苦), 공(空) 등의 성질과 같아.. 유식삼십송 2006.10.30
제21송 의타기와 원성실의 관계 제21송 의타기와 원성실의 관계 1) 송문 의타기자성(依他起自性) 분별연소생(分別緣所生) 원성실어피(圓成實於彼) 상원리전성(常遠離前性) 2) 풀이 의타기(依他起)의 자성은 분별지연(分別之緣) 즉 허망분별의 연려(緣慮)에 의해서 생긴다. 그리고 의타기에서 생긴 성품에서 헤아리고 집착하는 변계소.. 유식삼십송 2006.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