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우리나라의 천태사상 4. 우리나라의 천태사상 가. 천태사상과 천태종 천태종(天台宗)의 중심사상인 천태사상이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삼국시대 고구려의 파야(波若)스님과 신라의 연광(年光)스님이 지의선사로부터 직접 선법을 전수 받고 귀국한 이후부터이며,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이 다함께 중국 절강성 천..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15
3. 천태학과 지의 3. 천태학과 지의 천태종의 사실상의 개종자(開宗者) 지의선사(智의禪師, 서기 538~597년)는 중국 남북조의 말기에서 수(隨) 나라 사이에 활약한 대덕으로서 그의 속성은 진씨(陳氏)이고 속명은 덕안(德安)이다. 지의(智의)는 출가 후 그의 법명이고 지자대사(智者大師)는 수양제(隨煬帝)가 평소에 부르는 ..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13
2-1 천태교학론(삼제원융, 삼종지관, 일념삼천) 2) 삼제원융 대승불교의 사상을 유(有)와 공(空)의 두 갈래로 나누어 볼 때 하나는 유(有)의 입장에서 제법의 실상(實相)을 바라보는 화엄경이고 또 다른 한 갈래는 공(空)의 입장에서 제법의 실상을 바라보는 법화경이다. 그러나 유(有)의 입장에서 극도로 발전한 화엄경이나 공(空)의 입장에서 극도로 ..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09
2. 천태 교학론(五時八敎) 2. 천태 교학론 1) 오시팔교 부처님의 가르침의 내용과 그 시기에 관하여 종애(鐘愛)의 사시교(四時敎)와 승유(僧柔)의 오시교(五時敎), 보리류지(菩提流支)의 이교설(二敎說)과 혜광(慧光)의 사종교(四宗敎)를 비롯해서 삼론종의 삼법륜(三法輪)과 법상종의 삼시교(三時敎), 화엄종의 오교십종(五敎十宗..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07
1. 천태학의 성립과 전개 1. 천태학의 성립과 전개 천태학(天台學)은 일반적으로 법화경이라고 부르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불교의 한 종학(宗學)으로서 교리적인 핵심은 제법실상이다. 여기서 제법(諸法)이란 '세상의 모든 것'이라는 뜻이고 실상(實相)이란 '참 존재'라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따라서 '.. 법화경과 천태사상 200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