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삼십송

제14송 4종의 수번뇌와 부정심소

문선광 2006. 8. 15. 21:42

제14송 4종의 수번뇌와 부정심소


1) 송문


 방일급실념(放逸及失念)  산란부정지(散亂不正知)   부정위회면(不定謂悔眠)  심사이각이(尋伺二各二)


2) 풀이


제3요별능변식과 상응하는 심소에는 방일(放逸), 실념(失念), 산란(散亂), 부정지(不正知) 등 4종의 대수번뇌와 회(悔), 면(眠), 심(尋), 사(伺) 등 4종의 부정(不定)심소가 있으며, 이들 회면(悔眠)과 심사(尋伺)의 두 가지는 각각 선(善)과 악(惡)의 2성(性)에 통한다.


3) 해설


제3능변식과 상응하는 6종의 근본번뇌와 20종의 수번뇌 중에서 제12송에서 6종의 근본번뇌와 6종의 소수번뇌를 설명하였고 제13송에서 4종의 소수번뇌와 2종의 중수번뇌 그리고 4종의 대수번뇌 등 10종의 수번뇌를 설명하였으며, 이 송(頌)에서는 나머지 4종의 대수번뇌와 4종의 부정(不定)심소를 밝히고 있다. 이들 심소는 선업(善業)을 장애하고 정진을 게을리 하여 마음을 미혹하게 하는 심소들이다.


수번뇌(隨煩惱)는 비록 지말번뇌(枝末煩惱)에 해당하지만 끊어버리기 쉽지 않으며, 극복하기도 간단하지 않아서 수행의 관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대소 수번뇌를 일으키는 심소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와 같은 번뇌를 일으키는 심소를 규명한 다음 발심(發心)을 하고 지속적인 수행을 통하여 끊어버려야 하는 것이다.


제1송과 제2송의 방일급실념(放逸及失念) 산란부정지(散亂不正知)는 20수번뇌 중에서 전송까지 설하고 남은 4종의 대수번뇌인 방일(放逸), 실념(失念), 산란(散亂), 부정지(不正知)를 말하는 것이다.


4종의 대수번뇌


① 방일(放逸)이란 방종을 뜻한다. 밖으로 경계를 탐착(貪着)하여 더러움(染)을 막지 않고 청정함(淨)을 소홀히 하는 방종한 마음자리로서 사람을 방탕하게 하여 아무 것도 성취할 수 없게 하는 심소이다.


② 실념(失念)이란 과거에 익힌 경계를 기억하지 못하여 연결력이 상실된 마음으로 건망증에 해당된다. 이 심소는 도업(道業)을 성취하고자 발심은 하지만 바로 망각하는 습성 때문에 정념(正念)을 장애하여 성취할 수 없게 하는 마음자리이다.


③ 산란(散亂)은 바깥 경계에 이끌려 정념(正念)을 상실하고 유탕(流蕩)한 마음을 일키는 심소로서 안정감이 없어서 일에 몰두하지 못하고 바른 삼매(正定)에 들지 못하여 도업(道業)을 성취할 수 없게 하는 마음자리이다.


④ 부정지(不正知)란 면전에 나타난 바깥경계에 대하여 그릇된 견해를 일으켜 곡해(曲解)함으로서 정지(正知)를 장애하고 도업을 이루지 못할 뿐 아니라 의식이 치우쳐서 바른 길을 가지 못하게 하는 심소이다.


4종의 부정(不定)심소


회(悔)·면(眠)·심(尋)·사(伺) 4종의 부정심소는 선(善)·악(惡) 어느 한 쪽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일체심(一切心), 일체지(一切地)에 두루하기 때문에 그 상황을 살펴본 이후에야 단정할 수 있으므로 무기라 칭한다. 말(末)구에 이각이(二各二)라 한 것은 회면(悔眠)을 하나로 하고 심사(尋伺)를 하나로 보아 각각 선악(善惡)이 있다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① 회(悔)는 후회하고 뉘우치는 것을 말한다. 후회함에 있어서 앞서 행한 선(善)한 일을 후회하면 악념(惡念)이 되고 악(惡)한 일을 후회하면 선념(善念)이 됨으로 회(悔)는 부정(不定)에 속하는 것이다.


② 면(眠)은 수면(睡眠)을 말한다. 적당한 수면은 정신적, 육체적인 건강에 반드시 필요하고 도움이 되므로 선법(善法)이 되고 너무 많은 시간동안 수면을 취하면 혼침(昏沈)에 빠지게 되고 너무 적은 수면은 극도의 피로로 이어져서 악법(惡法)에 속한다.


③ 심(尋)은 찾아내는(尋求) 것을 뜻한다. 마음이 '언설(言說)의 경계(意言境)' 즉 제법의 명칭에 대하여 조잡하고 천박한 분별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것 역시 선(善)일 수도 있고 악(惡)일 수도 있다.


④ 사(伺)는 살펴보는(伺察) 것을 말한다. 마음이 의언경(意言境)에 대하여 미세한 추도(推度)를 일으키는 것으로 이것 또한 선(善)의 경우도 있고 악(惡)의 경우도 있다.

'유식삼십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6송 의식의 작용과 단절  (0) 2006.09.01
제15송 전오식의 작용  (0) 2006.08.25
제13송 10종의 수번뇌  (0) 2006.08.06
제12송 근본번뇌와 수번뇌  (0) 2006.07.29
제11송 열 한 가지의 선심소  (0) 2006.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