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삼제원융
지의는 그의 저서 '인연소생법(因緣所生法)'에서 공(空)·가(假)·중(中)의 삼제원융론(三諦圓融論)을 펴고 있는데,
삼제원융(三諦圓融)이란 현상계의 모든 현상은 본질적으로는 무상(無常), 무아(無我)이지만 현실을 무시하거나 회피할 수 없기 때문에
본질계(本質界)와 현상계(現象界)가 둘이 아님을 인정하면서 현실과 본질을 분리하지 말고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3) 삼종지관과 일념삼천
그리고 일념삼천(一念三千)은 한 순간 혹은 한 찰나의 한 마음 가운데 삼천의 세계가 갖춰진다는 천태의 세계관이다. 여기서 삼천의
세계란 윤회의 세계인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육도와 깨달음의 세계인 성문, 연각, 보살의 삼승(三乘)과 부처님의
불승(佛乘)을 합해서 모두 십계(十界)가 되고 십계는 서로 별개의 세계가 아니고 나머지 아홉 개의 세계를 모두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합하면
백계(百界)가 된다.
여기에 천태종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법화경 방편품의 여시상(如是相), 여시성(如是性), 여시체(如是體), 여시력(如是力),
여시작(如是作), 여시인(如是因), 여시연(如是緣), 여시과(如是果), 여시보(如是報), 여시본말구경(如是本末究竟)의 십여시(十如是)를 적용하면
모두 천계(千界)가 되고 여기에 삼종세간인 오음세간(五陰世間), 중생세간(衆生世間), 국토세간(國土世間)을 적용하면 우주는 모두
삼천세계(三千世界)가 된다는 것이다.
'법화경과 천태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법화경(경의 종류) (0) | 2005.11.18 |
---|---|
4. 우리나라의 천태사상 (0) | 2005.11.15 |
3. 천태학과 지의 (0) | 2005.11.13 |
2. 천태 교학론(五時八敎) (0) | 2005.11.07 |
1. 천태학의 성립과 전개 (0) | 200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