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까리(피마자)기름의 효능과 치료 방법들
제가 피마자 기름 치료에 관심이 많아서 그 동안 피마자 기름으로 치료할 수 있는 부분들을 발췌한 자료입니다. 여러분들에게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읽고 난다음 피마자 기름 한 병 정도 사두는 게 어떨까요? 아스피린 사는 것보다 백배, 천배 훌륭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 피마자 기름 트린트먼트
퍼머를 한 후 유난히 머릿결이 거칠어지고 푸석푸석하다고 느껴질 때가 있으시죠?
이럴 때 피마자 기름 트리트먼트를 해보세요. 매우 큰 효과를 보실 겁니다
[준비할 재료] 계란 노른자, 피마자 기름
[만들기 및 사용 방법]
① 계란 노른자에 피마자 기름을 조금씩 넣어가면서 거품기로 저어 마요네즈를 만듭니다.
② 머리를 감은 후 피마자기름 트리트먼트를 바르고 비닐캡을 씁니다.
③ 약 20분이 지난 후 더운물로 헹구어 내고 약간의 샴푸제로 다시 한번 샴푸합니다.
? 식용유 트리트먼트
일반적으로 우리가 먹는 마요네즈가 머리카락에 윤기가 나고 탄력이 생긴다는 것은 모두 알고 계시죠? 식용유 트리트먼트가 바로 그 마요네즈입니다. 직접 만들어서 사용해도 좋고 제품으로 나와있는 것을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일주일에 1~2회 정도만 하면 머리카락에 윤기와 탄력이 생깁니다.
[준비할 재료] 계란 노른자, 식용유, 식초
[만들기 및 사용 방법]
① 계란 노른자에 식용유와 식초를 넣고 거품기로 저어 마요네즈를 만듭니다.
② 머리를 감은 후 식용유 트리트먼트를 바르고 비닐캡을 씁니다.
③ 약 20분이 지난 후 더운물로 헹구어 내고 약간의 샴푸제로 다시 한번 샴푸합니다
? 두드러기 치료
① 피마자(아주까리) 기름을 한 숟가락 정도 먹고 바로 탱자 5개에 1.5홉 가량의 물을 붓고 달여서 먹으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만일 증세가 심하면 피마자 기름을 두 숟가락 정도 먹은 다음에 탱자를 달여 먹는 것이 좋다.
? 사마귀가 생겼을때
피마자 기름
(아주까리 기름)
아침,저녁으로 피마자기름을 환부에 바르고 20분간 흡수시킨다.
? 갓난아기의
배꼽염증
피마자 기름을 배꼽에 바른다.
? 산모가 젖이 나오지 않을때
피마자 기름을 유두에 바른다.
? 눈의 점막이 아프거나 눈이 충혈되었을 경우
피마자 기름을 눈에 바른다.
? 어린아이의 머리카락이 자라지 않을때
잠자기전 피마자 기름을 발라 마사지하고 아침에 머리를 감는다.
? 치질
항문주변에 피마자기름을 바른다.
? 기미.
피마자 기름 : 자아비스 박사에 의하면 피마자 기름으로 잠자기 전에 30분씩 기미를 맛사지 해주면 반드시 없어진다고 한다.
? 독충에 물리거나 벌에 쏘였을 때
피마자 기름을 솜에 묻혀 환부에 발라 주면 통증과 독을 한꺼번에 없애준다.
? 구두에 닿아 발이 부르튼데 피마자 기름
미국의 자아비스 박사는 환부를 피마자 기름으로 잘 맛사아지해 주는 것이 제일 좋다고 한다.
? 중이염(中耳炎)
참기름이나 피마자 기름을 면봉에 묻혀 하루 2∼3회 발라 주면 효과가 있다.
? 피마자 기름 팩
이 팩은 면이나 울 프라넬을 세겹이나 네겹으로 겹치고 여기에 가열된 피마자 기름을 적셔 놓은 것이다. 이 팩은 일반적으로 배 위에 얹혀 놓고 플라스틱 비닐이나 방유천으로 덮어 옷이나 다른 천에 흡수되지 않도록 한다. 열을 가해 주는데 보통 전기찜질대를 사용한다. 에드가 케이시에 따르면, 열은 공기구멍을 통하여 기름이 흡수되는 것을 증가시키므로 가능한한 뜨겁게 만들어 주도록 충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팩을 하고 나서 약한 소다탄산수로 피부를 세척해 주라고 한다.
피마자 기름은 대체적으로 잠자기 전에 한시간 반 동안을 시핼한다. 연속해서 시행하는데 3일가량 계속하고 3일은 쉬고 3일은 다시 반복하고 이러한 식이다. 노폐물의 배설을 도와주기 위해서 팩을 시행하는 세 번째 날에 올리브오일은 복용한다.
리이딩에 따르면, 피마자 기름 팩은 기관의 배설을 자극하고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도와 준다. 겉으로는 팩이 림프샘을 자극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다시 독소가 기관에서 빠져 나오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대체로 피마자 기름 팩은 배설 불량인 경우나 소화와 배설의 부조화, 신경의 부조화에 추천된다. 어떤 경우에는 특정한 증상, 중풍과 같은 부조화에 바로 추천되는 수도 있다. 경피증(scleroderma)과 같은 경우에 피마자 기름 팩을 배 부위가 아닌 부위에 처방되는 경우도 있다. 케이시는 멘스시기나 3일간의 사과 다이어트를 시행한 날은 시행하지 말도록 충고하였다.
? 립글라스 만들기
봉밀과 피마자기름, 글리세린이 탁월한 보습력으로 입술을 촉촉하게 유지시켜줄뿐더러, 시중의 여느 제품보다도 광택이 뛰어나다.
1 재료 : 봉밀, 피마자기름, 글리세린 약간씩.
2 준비한 재료를 모두 섞어 끓인 후 용기에 담아 식히면 훌륭한 립글로스 완성!
? 거슨 요법
피마자기름 관장 하루 걸러서 한다
? 편두통으로 굉장히 아플 때
피마자(아주까리) 껍질 깐 것 25개, 대추씨 뺀 것 15개를 함께 약절구에 잘 찧어서
창호지 위에 얇게 편 다음 그 중간에 젓가락을 놓고 똘똘 만 후 젓가락을 뺀다. 그것
을 코 구멍에 꼭 끼운다.
한참 지나면 콧물이 나오면서 신통하게 낫는다. 또 한쪽 머리가 아플 때 그 반대 쪽 코
구멍에 무즙 을 몇 방울 떨어뜨리면 두통이 멈춘다.
? 피마자 열매기름을 바르면 피부병, 화상, 탈모에 효과가 있고, 축농증, 중이염 등에 물을 붓으로 바르거나 몇 방울 떨어뜨리면 잘 듣는다고 한다
? 위염
ㄴ. 피마자기름을 1회 복용해 보세요.(어른은 5회정도, 15세 이하는 4회, 10세이하는 3회)
나이든 분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으로 화농균이 침범하거나 치석이 그대로 쌓여 생기는 풍치의 경우 피마자 씨를 후라이팬에 볶다 보면 씨 겉면에 기름이 저절로 생기기 시작하는데 그것을 아픈 이 사이에 넣어 살짝 물고 있으면 기름으로 인해 아픈 부분을 지지는 효과가 있어서 통증을 가시게 한다. 통증 때마다 이 같은 방법을 쓰면 쉽게 통증이 사라진다.
? 기관지염 및 천식
일반적으로 기관지에 담배가 나쁘지만 그러나 담배가루 10에다 피마자 잎 가루 1의 비율로 담배를 말아 피우면 천식이나 기관지염을 호전 시킨다. 해바라기 꽃을 말려 담배처럼 말아 피워도 천식에 좋으나
하루에 한 개피만 피운다. 또 한가지 방법은 말린 머위꽃 30g,목별자 30g을 합쳐 고운 가루를 만들어 3g을 담배처럼 말아 아침 저녁으로 한 대씩 피운다.
? 관절염
피마자 기름(또는 올리브)을 뜨겁게 데운 후 천을 담그고 담근 천위에 비닐을 싼다. 또 그 위에 타월을 덮고 다시 위에 패드치료통을 올려 놓는 방법
? 각종 체증
모든 체증에는 피마자기름을 달여 두세 번 마시면 직효
? 귀가 아플 때
피마자 기름: 외이염으로 귀가 아플 때는 피마자 기름을 두세방울 귓구멍에 떨어 뜨리고 탈지면으로 막아 둔다. 단 한차례 실시로 가벼운 외이염 쯤은 낫게 된다.
혀가 부은 것을 치료할 때는 아주까리씨(피마자)를 이용하면 좋은데, 먼저 기름을 낸 후에 종이 심지에 묻혀 태우면서 연기를 쐬면 된다.
? 비듬 치료
샤워 후에 머리카락을 사과 식초로 골고루 적신 후에 자연 상태에서 잘 말린다. 머리카락이 마른 후에, 손으로 머리 피부에 피마자기름을 세게 문지른다. 단 한번만의 시도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아주까리.
피마자라고도 부르는 일년생 풀이다.
파란 하늘을 배경 삼아...
옆으로 줄지어 나란히 서있는 아주까리.
꽃은 암수가 함께 위아래로 핀다.
위에 있는 주황색이 암꽃, 아래 노랗고 작은 꽃이 숫꽃.
아주까리 숫꽃에 벌이 날아 왔다.
열매로부터 아주까리 기름(피마자 기름)을 짜서
동백기름처럼 머리에 바르거나 등잔불 연료로 사용했다.
먼저 영근 열매와 덜 익은 열매의 공존.
순하고 여린 잎은 가을에 따서 잘 말려 나물로 만들어 먹는다.
음력 정월 보름에 잡곡밥과 함께 먹는 여러 나물 중의 하나이다.
2차대전 때 일본은 비행기 기름(항공유)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출을 강요했다.
진통 효과 때문에 염증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체하거나
변비일 때 피마자 기름을 먹으면 나았다.
그 밖에도 수많은 약리현상이 있지만 독소가 있기 때문에 조심...
누렇게 된 잎을 보면서 어머니의 일화가 문득 떠오른다.
대여섯 살 때쯤... 칫과가 그리 보편화 되지 않은 시절.
치통이 오면 어머니는 아주까리 씨를 따오셨다.
껍질을 정성껏 벗기신후 씨를 그릇에 넣고 불위에 올려 익히셨던 것...
그리곤 이가 아픈 부위에 아주까리 씨를 놓고 이를 앙물고 계셨다.
오랜 세월 지난 지금도 그러한 어머니 모습과 행동이 눈에 선하다.
아주까리 독성은 불에 약해 사라지고 진통효과만 남는 셈...
‘가을에 씨가 여문 다음 열매를 따서 껍질을 벗겨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있다. 간경, 비경에 작용한다. 부종을 내리고 고름을 빼내며 해독한다. 씨껍질을 벗기고 갈아서 꿀에 개어 부스럼, 연주창 등에 붙인다. 피마자기름(가열처리한 것)은 설사약으로 한번에 15~30밀리리터씩 먹는다.
피마자잎은 각기, 음낭이 붓고 아픈 데, 가래가 있어 기침하는 데 쓰며
뿌리는 파상풍, 전간, 연주창, 풍습으로 아픈 데 등에 쓴다.’고 적고 있다.
중풍으로 인한 안면마비, 반신불수 등에도 활용되고 있으나 비위가 허약한 사람, 대장이 약한 사람이나 설사 환자, 임산부 등은 사용을 해서는 안 된다.
아주까리 씨앗에 들어있는 리신(ricin)은 자연발생적 생물물질로는
독성이 가장 강한 것 중의 하나이다.
탄저균이나 파상풍균 등과 함께 주요 생화학무기의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고
세계1~2차 대전 중에 사용된 역사가 있다.
1978년 불가리아 반체제인사 게오르기마르코가 런던에서 버스를 기다리다
리신이 묻은 우산끝에 찔려 살해된 바 있다.
사람이 리신을 상당량 흡입하거나 혈액 속에 침투되면
위·폐출혈을 일으켜 72시간 안에 사망할 수 있다.
리신의 성인 치사량은 0.16g으로 알려져 있다.
아주까리 잎과 씨앗 등 풀 전체에 분포하나 특히 씨앗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리신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아주까리 어린잎을 끓는 물에 데쳐면 독성이 없어져서
나물로 해먹기도 한다.
피마자는 아주까리라고도 하는데 그 씨를 말하며 잎은 피마엽,
종자에서 짜낸 기름은 피마유 또는 피마자유라고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조금 있고 식물성 기름 맛이 나며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며 독이 있다.[甘辛平有毒]
피마자는 염증을 제거하고 독을 뽑아내 변으로 내보내는 효능이 있어
종기 초기, 옴, 버짐, 악창, 경부림프절염, 변비,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장내적취에 쓰고 중풍의 구안와사, 반신불수, 화상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은 복통과 설사유발, 피부염 및 기타 피부병 치료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조금 편압된 구형으로 바깥 면에는 흑색이나 갈색 및 백색 무늬와 광택이 있다.
위쪽 끝의 뒷면에는 백색의 카룬쿨라(Caruncula)가 붙어 있으며 때로는 떨어진 것도 있다.
씨의 껍질은 얇고 안쪽에 기름이 많은 백색의 배유가 있음.
질병 | 민간요법처방 |
---|---|
옴(개선:疥癬) | 온포기를 삶아서 그 물에 4~5회 탕욕한다. |
낙태(落胎) | 씨 껍질을 벗긴 알맹이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굽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2일 정도 복용한다. 단. 설사의 위험이 따른다. |
난산(難産)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회 정도 복용한다. |
단독(丹毒) | 씨를 짓이겨 4~5회 헝겊에 싸서 환부를 싸매준다. |
대변불통(大便불不通))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3~4회 복용한다. |
두드러기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생식한다. |
두통(頭痛) | 씨 2g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3회정도 복용한다. |
류머티즘 | 씨 2g을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굽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3~6일 복용한다. |
맹장염(盲腸炎) | 씨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
변비(便秘)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생식한다. |
부종(浮腫) | 씨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6일 복용한다. |
사하(瀉下) | 씨 3~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2회 복용한다. |
신경통(神經痛) | 씨 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생식한다. |
실음구금(失音口?) |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건선(乾癬: 마른버짐) | 씨를 짓이겨 10회 이상 환부에 갈아 붙인다. |
출혈(出血) |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
피부병(皮膚病) | 잎 또는 씨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
풍습(風濕) | 씨 2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3~5일 생식한다. 복용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통경(通經) | 씨 2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2~3회 생식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탕화창(湯火瘡) | 온포기 생즙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
타박상(打搏傷) | 씨껍질을 벗긴 알맹이 0.5~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3~5일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악창(惡瘡) | 온포기 또는 씨를 삶아서 그 물로 5회 이상 환부를 닦아낸다. |
치은염(齒은炎) | 씨 1~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4~5일 생식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오한(惡寒)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한다. |
창종(瘡腫) | 잎 생즙을 5회 이상 환부에 바른다. |
진통(陣痛) |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2~3회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중풍(中風) | 씨 0.5~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식으로 1일 2~3회씩 7~10일 복용한다. 복용 중에 쇠붙이 도구를 쓰면 안된다. |
종독(腫毒) | 온포기 또는 씨를 달여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
적취(積聚) | 씨껍질을 벗긴 알맹이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한열왕래(寒熱往來) | 씨 2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2~3일 생식한다. |
치질(痔疾) | 껍질을 벗긴 씨를 짓찧어 1일 2회 정도씩 4~5일 빠져 나오지 않게 환부에 잘 밀어 넣는다. |
<아주까리의 쓰임새>
1. 기름 - 약용<위 본문 참조>
2. 기름- 식용으로 썼으며 옛날에 찌짐(전)을 붙이려면 기름이 없어 아주까리기름이나
산초 기름을 사용하였음.
3. 기름 - 접시에 아주까리 기름을 담아 솜으로 심지를 만들어 불을 밝혔음.
4. 기름- 아낙네들의 머리 기름으로도 이용하였음.
5. 잎은 - 삶아서 식용으로 하였음.
열매는 삭과(殼果)로서 3실이고 종자가 1개씩 들어 있으며 겉에 가시가 있거나 없다.
종자는 타원형이고 밋밋하며 짙은 갈색 점이 있어 마치 새알 모양이고 리시닌이 들어 있다.
종자에 34∼58%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이 종자에서 짜낸 피마자유는 설사약·포마드,도장밥,공업용 윤활유, 페인트,니스를 만드는데 쓰이며 인조가죽과 프린트 잉크 제조, 약용으로도 사용한다.
♠ 중풍으로 눈과 입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할 때는 아주가리씨 속껍질을 벗기고 잘 으깨서 입이 오른쪽으로 돌아갔으면 오른손에 오른쪽으로 돌아갓으면 왼손에 바르고 뜨거운 물을 담은 그릇을 올려 놓는다.
♠ 각기병으로 붓고 아플 때는 아주까리잎(비마옆)을 쪄서 하루3번 환부에 찜질한다.
♠ 관절염 : 아주까리 씨 2g을 1회분으로 굽거나 생식으로 하루 2 ~ 3회씩 3 ~ 6일 복용한다.
"▶ 피부병과 설사약으로 가래가 있어 기침하는데 효험
피마자는 대극과Ricinus communis L.의 한해살이 풀이다.
흔히 시골에서 ‘아주까리’라고도 부른다.
일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고, 인도와 소아시아가 원산지인 재배식물이다.
잎을 피마엽, 종자 기름을 피마유, 뿌리를 피마근이라고 부른다.
맛은 달고 매우며 평하다. 독이 있다. 피마근은 약간 따뜻하고 싱겁다.
효능은 피마자는 종기를 삭이고 독소를 빼낸다. 설사시키는 작용이 강하다.
피마엽을 각기, 해수, 음낭종통에 좋고, 피마근은 진정해경, 거풍산어에 좋다.
피마자는 종기 초기, 옴, 버짐, 악창, 경부림프절염에 짓찧어 환부에 붙이고
변비에 효력이 신속하나 독성이 강하여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 반신불수에 활용되며,
화상의 치료에 관하여 중국의 고의서 <양생필용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피마자 가루와 조개 껍데기 가루를 같은 양으로 갈아서 연고를 만든후
물에 데인 탕상에는 참기름에 개어 바르고, 불에데인 화상에는 물에 개어 바른다.""
피마엽은 각기, 고환염, 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종기과 악창에 환부에 붙여서 치료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피마근은 파상풍에 쓰이고 간질에서 경련을 풀어 주고 진정 효과를 보인다.
풍습성으로 오는 사지동통을 치료하며 타박상에도 쓰인다.
피마자에는 지방유가 40~50퍼센트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ricinine, ricin과 유독한 단백질 acidicricin, basicricin 등이 들어 있다.
피마자는 십이지장 내에서 지방을 분해시켜 설사를 일으키게 한다.
피마유는 복통과 설사를 유발시키며, 피부 윤할 작용을 일으켜 피부염과 기타 피부병에 활용된다.
피마엽 약침액은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피마자는 안면신경마비(구안와사)의 치료에 효험이 있다.
중국 의서 <부인양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피마자 속씨 49알을 짓찧어서 떡으로 만든 후
이것을 우측 마비이면 왼쪽 손 바닥 중심에, 왼쪽 마비이면 오른쪽 손 바닥 중심에 놓고
구리로 된 작은 그릇에 끓는 물을 부어서 약을 놓은 손 바닥 위에 놓는다.
물이 식으면 갈아 낸다. 5~6회이면 정상으로 회복된다.
"" 또한 <중약대사전>에서도 안면신경마비치료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피마자 껍데기를 벗기고 짓찧어서 진흙같이 하여
환측의 아래턱 관절, 입, 귀에 바르고(두께를 약 0.3센티미터로 한다.) 가재와 붕대로 고정시킨다.
하루 한 번씩 약을 갈아준다. 3번의 임상보고의 치료에서 10일 이내에 모두 나았다.""
중독 증상으로 구토, 복통, 설사, 의식마비, 수족냉증, 동공산대를 일으키는데,
병원에서 응급 처치를 해야 한다.
피마근은 전간(癲癎)에 효험이 있고, 소아파상풍, 기관지폐렴, 뇌염에도 유효성을 나타낸다.
주의사항으로 피마자는 독성이 강해 함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호주의 농촌에서는 피마자를 볶아서 익혀 먹으면 독성이 없어진다고 하는데,
가열에 의하여 ricin이 파괴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피마자를 법제하는 방법에 관해서 <중약대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피마자를 조제할 때 철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무릇 피마자를 쓸 때에는 먼저 끓는 소금 물에 넣어 12시간 정도 끓인 다음
껍데기를 발라 버리고 짓찧어서 쓴다.""
8-9월에 개화하며,
원줄기는 높이 2-3m 정도로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표면에 털이 없다.
호생하는 잎은엽병이 길고 엽신은 지름 30~60cm 정도로 방패같고
손바닥처럼 5-11개로 갈라지며,
표면은 녹색 또는 갈색이 돌고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원줄기나 가지 끝에 달리는 길이 20cm 정도의 총상화서에
위에는 수꽃이 달리고 밑에는 암꽃이 달린다.
삭과는 3실이고 종자가 1개씩 들어 있으며 겉에 가시가 있거나 없다.
종자 1000개의 무게가 약 250g 정도이다.
열대 지방에서는 다년생인 식물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일년생 작물로 관상용이나 종실용으로 심고,
연한 잎은 말려서 식용하기도 하고
종자의 기름은 포마드, 윤활유, 인쇄잉크, 인주 등의 원료로 이용하기도 한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 사전>에서는 피마자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비마인(?痲仁) 즉 피마주씨, 버들옻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피마자의 씨를 말린 것이다.
피마자는 각지에서 심는다.
가을에 씨가 여문 다음 열매를 따서 껍질을 벗겨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있다. 간경, 비경에 작용한다.
부종을 내리고 고름을 빼내며 해독한다.
씨에 30~50퍼센트의 기름, 리친(독성 단백질), 리치닌(알칼로이드)이 있는데
리친과 리치닌은 열(熱)에 의하여 쉽게 파괴되고 기름은 설사를 일으킨다.
씨껍질을 벗기고 갈아서 꿀에 개어 부스럼, 연주창 등에 붙인다.
피마자기름(가열처리한 것)은 설사약으로 한번에 15~30밀리리터씩 먹는다.
피마자잎은 각기, 음낭이 붓고 아픈 데, 가래가 있어 기침하는 데 쓰며
뿌리는 파상풍, 전간, 연주창, 풍습으로 아픈 데 등에 쓴다.”
금기사항은 임신부나 비위가 허약한 사람,
대장이 약한 사람이나 설사 환자는 사용을 해서는 안된다.
외용시에는 짓찧어 붙이거나 섞어서 붙인다.
내복을 할 때는 환을 만들어 먹거나 생것을 찧거나 볶아서 복용한다.
피마자 기름에 대하여 <A 1981年 8月號 22面>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인기얻는 피마자 기름
여러 세기 동안 피마자 기름은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것은 환자들에게 그리 인기가 없었다!
하지만 오늘날은 1‘퍼센트’가량만 약용으로 사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당신은 촉감이 부드럽고 달라붙지 않는 옷을 입기를 원하는가?
그러한 섬유가 피마자 기름으로 만들어진다.
한 때 멸시를 받던 그 기름은 또한 좋은 비누, ‘로션’ 및 ‘크림’에도 사용된다.
이 기름의 빙점이 낮기 때문에 이것은 추운 기후에서 윤활유로서 이상적이다.
그리고 이것은 섭씨 270도가 되기까지는 발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제트’비행기의 이상적인 윤활유가 되었다.
그것은 자동차가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는 데나
다른 수십가지의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이렇게 사용하는 일은 피마자 기름을 한 모금 삼키는 것보다 훨씬 더 쉽다.]
피마자가 독성이 있지만 독성을 잘 다스리기만 하면 우리 인체에 대단히 큰 유익을 주는 약초이다.
아주까리(피마자) 어린잎을 따서 햇볕에 말렸다가
나물반찬해서 먹으면 너무 맛있지요
아주까리(피마자)주의:생으로 드시면 절대 안됩니다
생으로 섭취하면 혈압저하,구토증상,심하면 사망에 이를수도 있어요
아이들이 2~2개만 먹어도 치명적이니까 조심하세요
열매를 볶아 기름을 짜면 독성은 거의 없어지고 좋은 효능이 있답니다
피마자효능,아주까리효능:체내독소제거,피부염,피부병,무좀,대변을 잘나가게하며
잎에는 다리아픈 증상을 낫게하며 기침을 자주하는 분에게 좋습니다
2~4g을 달여서 복용합니다
*********부작용:임신부는 절대금지********
'약과 독이되는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쑥의 효능 및 효과 (0) | 2018.06.06 |
---|---|
[스크랩] (연(蓮)의효능, 상식) 연을 알면 내 몸도 건강할 수 있다 ! (0) | 2015.06.29 |
[스크랩] 산삼보다 나은 신비의 약초-지치 (0) | 2007.09.20 |
[스크랩] 산 도라지의 효능! (0) | 200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