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송 아뢰야식의 작용2 제3송 아뢰야식의 작용2 앞에서 송문(頌文)을 중심으로 공부하였고 여기서는 성유식론을 중심으로 하여 좀더 살펴본다. 아뢰야식은 심소 중에서 촉(觸), 작의(作意), 수(受), 상(想), 사(思) 등의 다섯 가지 마음자리(五遍行心所)와 상응하는데, 수(受)의 입장에서 보면 고(苦), 락(樂), 우(憂), 희(喜), 사(捨.. 유식삼십송 2006.06.01